분류 전체보기67 [MySQL] brew mysql password 오류일 때, 비밀번호 잃어버렸거나 올바른 번호여도 안 될 때 검색해서 겨우 찾아서 함 https://kong-dev.tistory.com/142 [mysql] root계정 비밀번호 잃어버렸을때 (M1, homebrew설치) 기존의 설정이랑 수업을 들으면서 따라하던 설정이랑 충돌이 일어났었는지... 진짜 이거 때문에 고생고생 개고생을 했다... 혹시나 또 이런일이 생길까봐, 나처럼 고통받는 사람 있을 까봐 남김. kong-dev.tistory.com mysql 완전 삭제 후 다시 재설치함 brew uninstall mysql 기본적으로 mysql 삭제 # mac에서 brew를 통해 mysql를 설치했을 경우 cd /opt/homebrew/Cellar # 이동 후 sudo rm -rf mysql # 삭제 cd /opt/homebrew/var # 이동 후 sudo rm.. 2022. 11. 7. [ MySQL 아키텍처 ] 2. InnoDB 스토리지 엔진 아키텍처 (3) InnoDB 스토리지 엔진 아키텍처 (3) 7. 버퍼풀 MySQL 아키텍처를 공부하면서 InnoDB 스토리지 엔진 부분이 가장 방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InnoDB 스토리지 엔진 중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 바로 '버퍼 풀(Buffer Pool)'으로 불리는 디스크의 데이터 파일이나 인덱스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해두는 공간이다. 아마 이번 글이 가장 길지 않을까 싶다. 괜히 처음 접하는 어려운 개념을 내 언어로 바꿔버리면 더욱 혼동이 올 것 같아서 되도록 읽는 책의 본문 내용을 그대로 쓰고자 했다. 반복적으로 읽어가면서 나만의 언어로 풀어가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InnoDB 엔진 전체 구조 버퍼 풀(Buffer Pool)이란 MySQL InnoDB 스토리지 엔진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2022. 10. 6. [데이터베이스 기본] 3. OLTP vs OLAP 1. OLTP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직역하면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로서 여러 사용자 PC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Tranaction)을 DB서버가 처리하고, 그 결과를 요청한 사용자 PC에 결과값을 되돌려 주는 과정을 말한다. 즉, 1개의 요청 작업을 처리하는 과정을 OLTP라고 보면 이해하기 편하다. 예를 들어, 은행에 예금(입금)하는 것을 ① 돈과 카드를 은행원에게 전달 → ② 은행원이 돈과 카드를 확인한 후 입금 실행 → ③ 입금 내역을 확인까지 3단계의 프로세스로 가정할 때, 모든 3단계가 완벽히 끝나야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단계를 통째로 '1개'의 요청작업(=트랜잭션)으로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해, 중간에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해 2단계 작업까지만 수행.. 2022. 10. 5. [데이터베이스 기본]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조, 사용자 2.1 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 및 형식, 관계 등 정보를 형식 언어(formal language)로 기술함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때 가장 먼저 할 일은 데이터의 공통 속성을 식별하여 컬럼으로 정의하고, 테이블을 만드는 것 통상적으로 하나의 테이블이 아닌 여러 개의 테이블로 만들고, 각 테이블 구조, 형식, 관계를 정의함 이를 스키마라고 하며, 일종의 데이터베이스 설계도로 이해하면 됨 데이터베이스마다 스미카를 만드는 언어가 존재하며, 해당 스키마만 있으면 동일한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수 있음 (데이터베이스 백업과는 달리 데이터 구조로만 동일하게 만들 수 있음) 스키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와 제약조건을 정의 인스턴스: 정의된 스키마에 따.. 2022. 10. 5. [데이터베이스 기본] 1.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 - 개념, 특징, 장단점, DBMS와 RDBMS, NoSQL과 NewSQL 1.1 데이터베이스 개념 체계화된 데이터의 모임 여러 응용시스템들의 통합된 정보를 저장하여 운영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의 묶음 논리적으로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자료 모음으로 데이터를 고도로 구조화함으로써 검색/갱신 등의 데이터 관리를 효율화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해서 저장한 운영데이터의 집합 1.2 데이터베이스 특징 실시간 접근(real-time accessibillity): 사용자가 요구하면 원하는 데이터를 빠른 시간(수초이내) 내에 제공 계속 변화(continuous evolution): 현실 세계의 상태를 정확히 반영(동적인 특징이 존재 - 삽입, 삭제, 수정하여 정확한 데이터 유지) 동시 공유(concurrent sharing): 여러 사용자가 서로 다른 데이터.. 2022. 10. 5. 이전 1 ···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