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7 [데이터베이스 핵심 요약] 2.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정의 1. DBMS 정의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사이의 중재자 역할으로서 모든 응용 프로그램(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용할 수 있게 관리해주는 범용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말하며, 일반 파일 시스템의 문제점인 종속성과 중복성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즉,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2. DB와 DBMS의 차이 DB(database): 데이터 저장서 및 데이터를 통합・저장하고 운영하는 집합체 DBMS: DB를 생성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으로서 Oracle, MySQL, PostgreSQL, MongoDB 등이 있다. 3. DBMS 주요 기능 사용자간의 권한 통제 (데이터 접근 통제) 데이터 일관성과 무결성 보장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통합 관리 가능 트랜잭션 관리(Ro.. 2022. 11. 11. [데이터베이스 핵심 요약] 1. 데이터 독립성(Data Independence) 1. 데이터 독립성의 개념 하위 단계 데이터의 논리적/물리적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상위 단계 또는 외부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속성을 말한다. 2. 데이터 독립성의 필요성 그림에 나와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독립성이 필요하다. 유지보수 비용 감소: 데이터가 독립되면 수정을 해야될 부분이 최소화 되고, 수정하기에 용이해져 최종적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데이터 복잡도 감소: 데이터가 독립하게 되면, 구조를 재개선하게 되어 복잡성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데이터 중복성 감소: 구조를 재개선하여 중복성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요구사항 대응 향상: 데이터의 구조가 잘못되었을 경우, 유지보수에 대한 처리가 힘들고 많은 비용이 들지만 데이터가 독립이 되면 유지보수에 대한 처리가 .. 2022. 11. 11. [hadoop] sbin/dfs-start.sh 실행 시, local port 22: Operation timed out 결론. 아직 해결 못 함 문제. 로컬호스트에서 sbin/dfs-start.sh 실행 시 'local: ssh: connect to host XXX.local port 22: Operation timed out 문제로 구동이 되지 않음 구글링 결과, 공유기(우리집은 SK)에서 SSH Port 22 접근을 막아둔 것이라고 함. 그래서 포트포워딩으로 22 접근을 허용시켰는데, 문제는 namenode만 정상적으로 구동됨. datanode 문제는 이전 글에서 해결방법을 찾았지만, secondary namenode가 port 22 문제로 정상 구동이 안 됨. 현재(2022.11.10, 18:28)까지 해결방법을 못 찾음ㅠ 2022. 11. 10. [hadoop] sbin/start-dfs.sh 실행 시, datanode 실행 오류 문제 결론. dfs/data 폴더를 삭제 후, 다시 생성 후 namenode -format하면 정상적으로 작동 문제. sbin/start-dfs.sh # hadoop 실행 하둡을 실행명령(sbin/start-dfs.sh) 시, 정상적으로 구동된 것으로 보이지만, jps 명령어를 통해 확인해보면 DataNode가 구동되지 않음 cat hadoop-root-datanode-XXX.log logs 폴더에 들어가서 hadoop-root-datanode-XXX.log를 확인함. 엄청나게 길던데 그냥 가장 최근만 확인함 datanode namespace ID값이 namenode namespace ID값과 일치하지 않아서 나타난 error로 판단됨 주로, namenode -format할 때 발생하는 error라고 한다. .. 2022. 11. 10. [Docker 입문 1] docker 설치 docker version Mac M1 기준 docker 설치방법 1. docker download 아래 링크에서 자신의 환경에 맞는 버전으로 docker를 다운로드 함 (저는 for mac, mac with apple chip) https://docs.docker.com/desktop/install/mac-install/ Install on Mac docs.docker.com mac이기 때문에 다운로드 받은 docker.dmg 파일을 드래그 앤 드랍을 통해 설치 이런건 가볍게 'OK'를 눌러주고, 접근권한이 필요하다는 것이니까 허용하는 것 2. Docker 설치 완료 화면 mac terminal에 명령을 날려서 docker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 사실 설치방법은 별거 없다. 그냥 설치하면 됨. 2022. 11. 10.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