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SI 7 계층과 TCP/IP 프로토콜 스택
통신용 규약을 최대한 하나로 통합한 네트워크 구조
- OSI 7계층을 통해 네트워크 환경을 물리적인 파트부터 애플리케이션 사용 파트까지 계층으로 구분하여 여러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 현재는 여기서 하나 더 나아가 TCP/IP 프로토콜 스택 기반으로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렇게 계층별로 표준화가 되면,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계층(모듈)별로 개발할 수 있다. 이는 객체 지향 패러다임과 비슷하여 객체 지향의 장점인 '유연성'도 가질 수 있다.
2. OSI 7 Layer
- 계층 5~7 : 상위 계층 - 웹/앱 개발자가 하위 계층을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 집중한다.
- 계층 1~4 : 하위 계층 -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잘 전달하는 역할을 가지며, 네트워크 엔지니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집중한다.
참고. OSI 7 Layer -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일어나는 과정
3. TCP/IP 프로토콜 스택
- 기존의 상위계층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만 집중한다.
- 네트워크 엔지니어는 나머지 3계층만 집중한다.
- 이론보다 실용성에 중점을 둔 프로토콜 스택이다.
- 계층별 특징
- 애플리케이션 계층(HTTP, FTP) : 비즈니스 로직 또는 특정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것이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 전송 계층
- 트랜스포트 계층(TCP, UDP) : 물리적으로 연결 및 경로 지정된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계층
- 인터넷 계층(IP) : 노드(컴퓨터)의 논리적 주소로 데이터를 보낼 경로를 선택하는 계층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실제로 랜선을 꽂는 랜카드 및 드라이버 등 물리적 영역을 표준화 하는 계층
출처.
https://www.inflearn.com/course/http-%EC%9B%B9-%EB%84%A4%ED%8A%B8%EC%9B%8C%ED%81%AC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HTTP 웹 기본 지식 - 3. HTTP 기본 개념 (0) | 2023.02.08 |
---|---|
[Network] HTTP 웹 기본 지식 - 2. URI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0) | 2023.02.07 |
[Web Service] 3. Web Service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종류 및 특징 (0) | 2023.01.09 |
[Network] OSI 7 Layer -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일어나는 과정 (0) | 2023.01.09 |
[Web Service] 2. Servcer-Clinet Model (0) | 202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