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SI 7 Layer (OSI 7 계층)
[참고] 조이(Joey) 강사님 추천 학습자료
2. 접속 과정
- 입력한 주소(naver.com)를 운영체제가 알고 있는 DNS에 조회함. 주소에 맞는 IP주소를 얻어옴
- 네트워크 통신할 메세지를 만듦. Application 또는 Presentation layer에 맞는 프로토콜을 선택함. 7에서 1 layer로 가면서 데이터를 하나씩 붙임
- a. 응용프로그램 계층(Application, Presentation, Session)에서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패킷을 붙임
- b. Transport Layer에서 TCP segment를 붙음
- c. Internet계층에서는 IP datagram을 붙임
- d. Network layer에서 자신의 IP source-ip 영역에 DNS로 조회했던 대상 서버의 주소를 target-ip 영역에 기록함
- e. Data link 계층에서 Frame을 붙임
- f. Physical 계층에서 Frame을 붙임
- sender의 host 또는 로컬 라우터에서 Physical Layer, Data link 계층의 Frame을 보고서 대상이 같은 영역에 있는 대상인지 확인하고, 그렇지 않으면 인접한 ISP 라우터에 메세지를 보냄
- ISP 라우터에서는 Physical, Data link, Network까지 데이터를 확인해서 target IP 주소까지 얻음. 라우터 자신이 가잔 IP table을 확인하고 target IP를 찾을 것으로 기대하는 적절한 GW 또는 로컬 라우터로 메세지를 넘김
- target IP를 가지고 있는 로컬 라우터에서 IP에 해당하는 서버 컴퓨터를 찾아 메세지를 전송함
- 해당 컴퓨터의 운영체제에서는 Layer 1,2의 프레임부터 차례대로 해석하면서 자신의 포트에서 해당하는 프로세스에게 메세지를 전송하고, 프로세스는 application layer 정보를 보고서 메세지를 해석함
- 해석한 뒤 응답을 보내줘야 한다면, 1~6까지의 같은 원리로 이제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메세지를 보냄
데이터엔지니어 조이(Joey) 강사님의 강의 요약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HTTP 웹 기본 지식 - 2. URI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0) | 2023.02.07 |
---|---|
[Network] HTTP 웹 기본 지식 - 1. 인터넷과 네트워크 (0) | 2023.02.06 |
[Web Service] 3. Web Service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종류 및 특징 (0) | 2023.01.09 |
[Web Service] 2. Servcer-Clinet Model (0) | 2023.01.09 |
[Web Service] 1. Servcer-Clinet Model (0) | 202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