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인(JOIN)의 개념
- 관계형 DB에서 가장 기본적인 쿼리문이자 중요한 문법이다.
-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기법이다.
- 관계형 DB에서는 조인을 통해 서로 다른 테이블 간의 정보를 원하는 대로 가져올 수 있다.
JOIN 개념을 이해하고자 검색하거나 많은 SQL 도서에 시각자료는 동그라미 벤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설명한다. 저 같은 경우에는 저거보다 좀 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직접 표를 그려서 공부했고, 훨씬 이해가 빨랐던 경험이 있다.
2. JOIN 문의 이해 - ANSI 조인
Inner Join
두 테이블을 연결해주는 Key값이 양쪽 모두 존재하여 공유되어야 한다. 즉, 동일한 ID(key)값을 공유하는 레코드끼리 연결한다.
Left (Outer) Join
ID(key)값을 기준으로 왼쪽 테이블의 레코드는 모두 유지된다.
Right (Outer) Join
ID(key)값을 기준으로 오른쪽 테이블의 레코드는 모두 유지된다.
Full Outer Join
조인 대상이 되는 두 테이블의 레코드가 모두 유지된다.
'Data Engineering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ySQL 아키텍처 ] 2. InnoDB 스토리지 엔진 아키텍처 (3) (0) | 2022.10.06 |
---|---|
[ MySQL 아키텍처 ] 2. InnoDB 스토리지 엔진 아키텍처 (2) (0) | 2022.10.05 |
[ MySQL 아키텍처 ] 2. InnoDB 스토리지 엔진 아키텍처 (1) (0) | 2022.10.05 |
[ MySQL 아키텍처 ] 1. MySQL 엔진 아키텍처 (3) (0) | 2022.10.05 |
[ MySQL 아키텍처 ] 1. MySQL 엔진 아키텍처 (2) (2)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