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부터 쭉 window만 쓰다가 최근에 M1 air를 구매하면서 macOS에 첫 입문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왜 이렇게 어려운지 모르겠다..
일단, MacOS 기본적인 세팅에 대한 기록을 써둔다.
1. iTerm
공식사이트 : https://iterm2.com
iterm은 너무 간단하게 설치했다. 위에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Downloads에서 설치하면 끝난다.
혹시 커스텀하고 싶다면, https://ooeunz.tistory.com/21 여기를 참고하면 될 것 같다.
2. homebrew
공식사이트 : https://brew.sh/index_ko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설치 후 환경변수 편집을 해줘야한다.
$ echo $SHELL
터미널에서 위 명령어를 쳐서 현재 사용중인 쉘을 확인해본다.
Bash일 경우, ~/.bash_profile or ~/.bashrc
bin/zsh일 경우, ~/.zshrc
에서 수정하면된다.
vim ~/.zshrc
로 파일을 열어서 맨 아래에
export PATH="$PATH:~bin"
를 입력해주면 되는데, $PATH: 다음에 환경변수를 적으면 된다.
그리고, 파일을 새로고침
source ~/.zshrc
3. oh my zsh
공식사이트 : https://github.com/ohmyzsh/ohmyzsh
역시 간단한 명령어 한 줄로 설치 완료할 수 있다.
bash쉘의 기능을 포함하여 편리한 기능이 여러 가지 추가된 shell입니다. (아직 잘 다루진 못 함..)
참고사이트 : https://tutorialpost.apptilus.com/code/posts/tools/using-zsh-oh-my-zsh/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com/robbyrussell/oh-my-zsh/master/tools/install.sh)"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M1] DVC (Data Version Control) 설치 (0) | 2023.01.06 |
---|---|
[mac M1] git 설치 (0) | 2023.01.05 |
minikube & kubectl 설치 및 minikube 간단히 동작해보기 (0) | 2022.12.20 |
[Docker 입문 1] docker 설치 (0) | 2022.11.10 |
macOS에서 Ruby / Jekyll Install 하기 (0) | 2022.10.04 |